활동 일지24 [캡스톤디자인프로젝트 | 그로쓰] Kotlin & Firebase Storage # 목표Kotlin을 이용한 안드로이드 어플에서 Firebase Storage로 이미지를 업로드하자 ! 1. Firebase 환경 구축1-1. Firebase 프로젝트 생성 1-2. 프로젝트 콘솔창에서 안드로이드 앱 생성 로컬에서 작업 중인 프로젝트의 패키지명을 입력하고 [앱 등록] google-services.json 파일을 다운받아서 프로젝트의 app 폴더로 복붙해준다.이때,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좌측 파일 목록 열람 방식을 Android → Project 방식으로 바꿔서 추가하면 된다. 프로젝트 파일 중 build.gradle (Project : ) 파일에 종속성을 추가한다. 프로젝트 파일 중 build.gradle (Module : ) 파일에 종속성을 추가한다. 나는 Fire.. 2023. 4. 11. [밥약 | 백엔드] 프로젝트 초기 설정 밥약에서 나는 사용자 관리를 담당하기로 했다. 기본적인 auth는 구글 로그인을 기반으로 학교 메일 인증을 한다. 사용자 관리 API는 프로젝트 전반에 있어 가장 우선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기능이라 첫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설정을 내가 담당했다. 이 과정에서 하루만에 재미있는 우여곡절들이 많아서 기록을 남겨본다. 1. RDS 만들기 우리팀은 개인 DBMS가 아닌 AWS의 RDS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로 했다. 그동안에 플젝에서는 내가 RDS 세팅을 한 적이 없었는데 마침 경험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사실 전공 과목에서 다루긴 했지만, 과제 조건을 따라가기 급급해서 제대로 익히지는 못했었기에 이번에 여기저기 구글링동냥을 하며 세팅을 해봤다. 일단 공용 계정은 AWS 프리티어 기간을 고려해서 최대한 늦게.. 2023. 2. 2. [밥약 | 백엔드] 밥약 프로젝트 합류 서베이지 활동도 마무리가 되어가고, 공모전도 최종 발표만 남은 시점에서 앞으로 내가 전공하고 싶은 백엔드 (스프링) 관련 프로젝트를 하나 더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동안은 스프링에 대해 얕게, 이론적으로만 공부하고 급하게 쫓긴 느낌이라 이번 겨울 방학부터 깊이 있게 공부를 하고 있다. 더 공부해볼수록 스프링이 재밌고, 이 분야로 진로 방향을 잡아야겠다는 확신이 들었다. 그리고 깊게 공부한 내용을 실무에 바로 적용해보면서 익히면 완전히 내것으로 만들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더욱 스프링 프로젝트 욕심이 생겼다. 그러다 학교 에브리타임 컴공 게시판에서 '밥약'이라는 선후배 식사 약속 매칭 서비스의 개발 팀원을 구한다는 공고를 발견했다. 스택도 마침 스프링 부트를 이용할 계획이라고 해서 망설임 없이.. 2023. 1. 31. [배리어프리] #11 어플 출시 와!! 드디어 우리 어플 '피싱백신'이 Google Play Store에 출시되었다!!! 생각보다 오래 걸려서 걱정했는데 그래도 무사히 출시 성공했다. 이제 업데이트로 기능 보완하고, 최종 발표까지 하면 몇개월 동안의 공모전도 끝이난다. 마지막까지 화이팅하자..! 2023. 1. 19. [캡스톤디자인프로젝트 | 스타트] 라즈베리파이 & 카메라 모듈 개발 환경 설정 졸업 프로젝트를 하며 처음으로 라즈베리 파이를 접하고, 개발을 위한 환경을 세팅해봤다.하드웨어를 본격적으로 다룬 경험은 처음이라 겁도 많이 먹었었는데, 하나하나씩 공부하며 따라하니까 무사히 세팅을 마칠 수 있었다.(중간에 안돼서 열받은 기억도 많지만...결국 되면 다 미화됨ㅋㅋ) 기억 증발 전에 그 과정을 후다닥 기록해보고자 한다.[참고 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rEOxUx23A8U&t=417s 목차1. 기기 세팅2. Raspberrypi OS 세팅3. VNC Viewer 설정4. 카메라 모듈 연결 1. 기기 세팅준비물 | 라즈베리파이 CPU, 카메라 모듈 우리 팀의 경우, 라즈베리 파이 키트 & 카메라 모듈을 구입했다. 처음에 뭐가 엄청 많아서 당황했었다.초기.. 2022. 11. 22. [캡스톤디자인프로젝트 | 스타트] Chrome 이미지 크롤링 본격적으로 YOLO 모델을 학습시키기 위해 이미지 크롤링을 진행하였다. 다양한 방법들이 있었는데, 나는 아래의 자료를 참고하여 실습해보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1b7pXC1-IbE&t=247s 1. 작업하고자 하는 폴더 생성 2. vscode로 해당 폴더 열기 3. 파이썬 가상 환경 만들기 (venv) ※ 주의 터미널이 cmd여야 한다! 계속 powershell로 진행하다가는 activate 명령어가 실행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3-1. 터미널에서 명령어 입력 python -m venv selenium * 공식 문서에는 python3 -m venv /path/to/new/virtual/environment 명령어로 소개되어 있지만, 내 pc에는 PYTHON으로 환.. 2022. 11. 11. [캡스톤디자인프로젝트 | 스타트] Yolo 사용해보기 팀명 : 존버그 (Zone 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이중적인 의미이다ㅋㅋ) 서비스명 : DeBugging 2022.10.07 멘토링때 들은 기술적 조언 중 하나는, 우리가 '객체 인식'이라는 기술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객체 인식은 객체의 종류를 판별함과 동시에, 해당 객체의 좌표도 파악하는 기술이었다. 우리 팀은 Yolo라는 알고리즘을 이용하기로 했다. 구글링을 하던 중, 노트북 웹캠으로 Yolo를 실습해볼 수 있는 영상이 있어서 따라해보았다. 악 근데 자꾸만 파일을 찾을 수 없다고 떠서 결국 실습 시간 2시간동안 해결하지 못했다. 아주 오래 기다리면서 NVIDIA도 다시 깔아봤는데 결과는 같았다. 열이 받았다. 그런데..! 실습시간 종료 1분전에 Yolo는 Python 3.8 (3.9였나? 암튼).. 2022. 10. 11. [캡스톤디자인프로젝트 | 스타트] 주제 구체화 2022.09.30 주제 확정 이후, 멘토님 및 지도 교수님과 면담을 했다. 가장 유의미했던 것은, 기기의 이동성과 관련된 것이었다. 멘토님께서는 기기가 이동하면서 탐지하는 것은 놓치는 해충이 많을 것이며, 해충이 발견되더라도 해당 벌레의 좌표를 매번 현재 기기 기준에서 상대적으로 파악해야 하므로 어려울 것이라고 조언해주셨다. 하지만 팀원들 모두가 이동성이 없는 기기는 매력적인 특성이 확 반감된다고 느껴서 고민이 많았다. 결국, 팀원들과의 논의 끝에 반이동성(?) 기기로 결론을 내렸다. 시간별로 이동을 하긴 하지만 특정 위치까지 이동한 후, 해당 위치에서 멈춰서 해충을 감시하는 것이다. 이동 -> 정지 -> 관찰 -> 이동 -> 정지 -> 관찰 -> ..... 주제의 매력 포인트를 적절히 살릴 수 있는 .. 2022. 10. 11. [배리어프리] #10 계획심사 합격 2022.08.23.화 와!!!!!!! 우리팀 니모가 계획심사에 최종 합격하였다!!!!! 여행갔던 강릉에서 아침에 결과를 확인하고 정말정말 행복했다. 우리가 기획한 어플, 피싱백신이 드디어 그 필요성을 인정받고, 실제로 구현될 자격을 얻었다. 나 역시도 팀원들과 협업하고 멘토님께 배우며 성장할 기회를 얻었다. 제작지원금 400만원도 지원된다고 한다. 소중한 기회가 주어진 만큼, 열심히 배워서 빛나는 경험으로 만들 것이다. 화이팅 !! 2022. 8. 24.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