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Languages

[Java] 자바 기본 프로그래밍

by seoyamin 2021. 7. 30.

식별자

 - 클래스, 변수, 상수, 메소드 등에 붙이는 이름

 - 숫자, 영문자, _ , $ 으로 구성가능

 - 첫글자에 숫자 불가

 - Boolean 리터럴 (true, false), null 리터럴은 식별자 사용 불가

 - 대소문자 구분

 


자바 데이터 타입

- 크기 고정, CPU나 OS따라 변하지 않음

 

  ① 기본 타입 (8)

문자 타입 정수 타입 실수 타입 논리타입
char  byte short int long float double boolean
2byte 1byte 2byte 4byte 8byte 4byte 8byte 1byte (t/f)

 

 ② 레퍼런스 타입 (1)

   - 클래스 레퍼런스(=주소값)

   - 인터페이스 레퍼런스

   - 배열 레퍼런스

 


리터럴

상수값을 직접 표현한 값

 

 ① 정수 리터럴

   - 10진수, 8진수, 16진수, 2진수 리터럴 존재

   - 기본적으로 int 타입으로 컴파일

   - long 타입으로 컴파일하고자 할 때는 숫자 뒤에 L 또는 l 필수로 붙여줘야 함

 

 ② 실수 리터럴

   - 기본적으로 double 타입으로 컴파일

   - float 타입으로 컴파일하고자 할 때는 숫자 뒤에 f 필수로 붙여줘야 함

 

 ③ 문자 리터럴

   - ' ' 으로 묶어서 표현

   - 특수문자를 그 문자 그대로 사용하고자 할 때는 특수문자 앞에 \ 붙여주기  |  ex) ' \"

 

 ④ 논리타입 리터럴

   - true, false 단 두가지

 

 ⑤ 기타 리터럴

   - null 리터럴 : 기본 데이터 타입에는 사용 불가  |  int n = null (X) 

                    문자열 리터럴 String에서는 사용 가능  |  String n = null (O)

   - 문자열 리터럴 : " "으로 묶어서 표현 ( 문자 리터럴은 ' ' )

                        문자열 리터럴은 String 객체로 자동 처리됨

 


상수

 - final 키워드 사용 

 - 선언 시 반드시 초기화

 - 실행 도중 값 변경 불가

final double PI = 3.14;

 


타입 변환

자동 타입 변환 강제 타입 변환
원래 타입보다 큰 타입으로 바꿀 때
- 자동으로 바뀜
원래 타입보다 작은 타입으로 바꿀 때
- 앞에 (바꾸려는 작은 타입) 해주기
원본 데이터값 그대로 유지 실수 -> 정수로 타입 변환 시 소숫점 아래 버려짐

 


Scanner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

   1. import java.util.Scanner;  스캐너 클래스 import

   2. Scanner 객체 생성

 

 - Scanner는 데이터 입력을 공백 단위로 구분하여 읽는다.

  - Scanner의 주요 메소드

       nextInt() : 다음 아이템을 int로 변환하여 반환

       nextDouble() : 다음 아이템을 double로 변환하여 반환

       nextLint() : 한 라인 전체를 반환

'CS > Languag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Vue.js] 기초 #3  (0) 2021.09.07
[Vue.js] 기초 #2  (0) 2021.09.03
[Vue.js] 기초 #1  (0) 2021.09.02
[Java] 자바 시작  (0) 2021.07.30
[Java] 생활코딩 Java1 (1-26강)  (0) 2021.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