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진짜 진짜 서베이지 서버 도입이 결정되었다..!
여러번 이야기를 나눴던 주제였는데, 서비스가 확장을 멈추면서 도입이 무산되었었다. 그러나 서베이지가 앞으로 지속 가능한 서비스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더이상 파이어베이스에 의지할 수 없다는 결론이 났고, 최최최종적으로 서버 도입이 확정되었다.
부족했던 나의 첫 프로젝트였으며, 가장 깊은 이해와 애정이 있는 서베이지를 완성도있게 개편할 기회가 생겨서 난 엄청나게 신이 났다ㅋㅋ
그동안 우리는 서버 없이 Firebase를 이용해서 서비스를 운영해왔다. Firebase를 선택했던 이유는 다음과 같았다.
▷ 첫째, 백엔드 인력 부족 문제였다.
지금까지 개발팀에는 백엔드쪽 진로를 가진 팀원이 없었다. 나도 백엔드를 잘 모르던 시절에 서베이지에 합류했던터라 서버에 관련해서는 잘 알지 못했었다.
▷ 둘째, 간편함 때문이었다.
Firebase는 서버나 DB쪽 전문 지식 없이도 요구하는 문법을 맞춰서 요청을 보내면 편리하게 백엔드단을 관리할 수 있었다. 또한, Firebase 프로젝트 관리 콘솔이 상당히 친절해서 개발팀은 물론, 기획 운영 팀도 간편하게 데이터를 열람하거나 조작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서비스가 성장 단계에 있는 경우, 변수가 쉽게 추가되거나 삭제되는 변동 사항이 많았는데, 이러한 점에서 NoSQL 형태의 파이어베이스는 간단히 이용하기 좋았다.
▷ 셋째, 이미 쌓여버린 기존 데이터에 대한 걱정 때문이었다.
이미 서비스가 고객층을 확보하고 있으며, 기존 유저/패널/설문 데이터가 모두 Firebase에 누적된 상태였기에 해당 데이터를 다른 db로 이동시키는 것에 대한 부담이 있었다.
서버 도입이 결정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서비스 속도 개선
기존에는 여러 계층으로 쌓인 파이어베이스 데이터를 가져오는데 정말 오랜 딜레이가 발생했었다. 우리 서비스의 리뷰에도 이와 관련한 고객들의 불만이 보이곤 했다. 고객 뿐만 아니라, 정산이나 설문 검수를 하는 운영진은 대량의 데이터를 다뤄야 했기에 더 많은 딜레이를 견뎌야했다..
▷ 효과적인 맞춤 설문 응답
서베이지의 핵심 기능중 하나는 설문자가 원하는 조건의 패널이 설문에 응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패널의 정보를 빠르게 가져오고, 유연하게 원하는 필터링을 걸어주는 기술이 필요하다. sql 향기가 난다. 서버가 꼭 필요하다.
▷ 패널 현황 분석
운영진 입장에서 현재 활동중인 패널의 유형을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보유한 패널의 유형을 파악할 수 있으면, 이를 활용하여 고객에게 우리 서비스를 어필할 수 있게 된다. 이때도 원하는 조건 (나이, 성별, 마지막 응답일 등)을 필터링하여 패널 통계를 매기는 서버가 필요하다.
서버 비용이 얼마나 나올지 걱정이 되지만, 서베이지의 지속가능성/안정성/편리성을 위해 꼭 필요한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지금까지의 플젝 경험을 영끌해서 든든한 서버를 도입해볼 것이다. 화이팅!!
'활동 일지 > 서베이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민 일지] Backend 설문 옵션에 확장성 더하기 (0) | 2024.01.0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