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에서 토큰 refresh 관리를 DB가 아닌 Redis를 이용하기로 했다.
Redis를 사용해보는 경험이 처음이라, 개념부터 정리해보고자 한다.
[참고] https://redis.io/docs/about/
1. Redis ?
Redis = Remote Dictionary Server
Redis는 Remote Dictionary Server의 줄임말로, Dictionary 구조로 비정형 데이터를 저장하는 DBMS이다.
1-1. NoSQL
Redis는 NoSQL DBMS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다.
1-2. Key - Value
Redis는 다양한 자료구조의 데이터들을 Key-Value 구조로 저장한다.
(String, Hash, Set, Sorted Set, List 등 다양한 데이터 형태를 저장할 수 있다.)
1-3. In-memory
디스크에 비휘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DB들 (MySQL, ORACLE 등)과 달리,
Redis는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했다가 요청이 들어오면 빠르게 데이터를 찾아주는 In-memory DB이다.
디스크 접근 속도 << 메모리 접근 속도 이므로, Redis는 빠른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
2. Redis 설치
2-1. Windows에 설치
https://github.com/microsoftarchive/redis/releases
2-2. 설치 파일 실행
다운받은 설치 파일을 실행하고, 모든 설정을 기본값으로 놔두고 계속 'Next'를 누르면 Redis가 설치된다.
2-3. 설치 확인
cmd 창에서 6379 (Redis 기본 포트) 상태를 확인해봤을 때 Listening이면 확인 완료!
2-4. 테스트
Program Files / Redis / redis-cli 를 클릭하고 테스트를 진행해보자.
redis-cli 실행 시, 우측과 같이 콘솔창이 뜬다.
콘솔창에 테스트용 set 데이터를 입력해보고, 값을 조회해보자!
잘 저장 / 호출 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Redis 설정 완료 ~!
'CS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H2] H2 Database 개념 및 설치 (0) | 2022.09.21 |
---|